비대칭키 암호
[정보보안기사 07] 비대칭키 암호: RSA
[정보보안기사 07] 비대칭키 암호: RSA
2020.06.22비대칭키 암호: RSA(Rivest-Shamir-Adleman)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의 표준으로 인수분해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사실에 기반하고 있다. 암호화와 전자서명 등에 사용된다. 키 생성 N = pq (p와 q는 서로 다른 소수) Φ(N) = (p-1)(q-1) Φ(N) 보다 작고, Φ(N)과 서로소인 정수 e를 찾음 de ≡ 1 (mod Φ(N))를 만족하는 정수 d(확장 유클리드 호제법) 암호화/복호화 통신 주체는 상대방의 공개키로 평문을 암호화하여 송신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문을 복호화하여 평문을 획득함 암호화 C = M^e mod n e: 공개키 복호화 M = C^d mod n d: 비밀키 취약점 소인수분해 공격 현실적인 시간 내에 효율적인 소인수분해는 아직 불가능 이러한 알고리즘..
[정보보안기사 06] 비대칭키 암호
[정보보안기사 06] 비대칭키 암호
2020.06.22비대칭키 암호(Asymmetric Cryptography) 암호화할 때 사용되는 키와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른 암호 알고리즘 키 배송 문제 대칭키 암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 배송 문제가 발생함. 해결방법 키 사전 공유 키 관리기관(TA, Trusted Authority)이 사전에 송수신자들에게 비밀 경로를 통하여 키를 전달 문제점 TA가 모든 사용자들의 키(𝑛(𝑛−1)/2개)를 관리해야 함 TA와 사용자 간의 안전한 통로 확보 문제 온라인 키 분배 키배포 센터(KDC, key distribution center)에서 키를 전달 배포 과정 키배포 센터에 통신을 위한 키 요청 키배포 센터는 의사난수 생성기를 통해 세션키를 생성 사용자의 키로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전달 사용자는 자신의 키로 복호화..